미국 대학원 지원 가이드 이력서 CV 준비

 

미국 대학원 지원 가이드 이력서 CV 준비

미국 대학원 입학을 준비할 때, 공통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 중 하나가 지원자의 이력서입니다. 지원 전공에 따라 Resume 혹은 CV의 형태로 요구됩니다. 두 문서 모두 지원자의 이력을 효과적으로 어필하는 데 목적이 있지만, 그 구성과 사용 목적에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 Resume ❇️ Curriculum Vitae (CV)
  • 지원자의 전문 경력에 포커스를 두어, 핵심 역량을 직관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보통 1~2 페이지 내외로 작성하는 이력서입니다.
  • 구직 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학원 입학 지원 시에는 주로 MBA 과정, 공학 석사 과정 등에서 요구하고 있습니다.
  • 지원자의 학력, 경력의 전체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보통 학계에 제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Resume를 요구하지 않는다면 CV를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CV는 페이지 제한이 없으며, 연구 및 강의 경험 등 학문적 성과를 중심으로 작성합니다.

 

 

매력적인 Resume의 구성 요소

✅ 이름 및 연락처 (Contact Information)

이력서의 상단에는 이름, 주소, 연락처, 이메일 주소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LinkedIn 프로필이나 내가 수행한 전공 관련 작업 현황을 정리한 웹사이트(ex: GitHub, 개인 웹사이트나 블로그 등)가 있다면 함께 기재합니다.

 

✅ 학력 (Education)

내가 취득한 전문 학위 정보를 모두 기재합니다. 준학사 학위, 교환학생, 온라인 취득 학위 등이 있다면 포함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지원 시 고등학교 정보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 전문 경력 (Professional Experience)

직장 경력, 유급 및 무급 인턴십 경력, 지원하는 전공과 관련된 경험 등을 나열할 수 있습니다. 경력을 어필할 때에는 회사명, 직책, 근무한 도시와 국가, 근무 기간(시작일 ~종료일), 주요 업무 및 성과를 명확하게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 기술적 역량 (Skills)

지원하는 전공 분야에서 요구하는 핵심 기술을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항목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보통 프로그래밍 역량, 통계 분석 도구 활용 기술,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CAD 등의 기술적 역량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강조 (Project Highlights)

지원하는 전공과 연관된 프로젝트 경험이 있다면, 별도로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대학 수업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나 연구 경험을 기재하지는 않는 편입니다. 하지만 특별하게 좋은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 과제가 있다면, 별도로 강조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과외 활동 및 리더십 (Extracurricular Activities & Leadership)

전공 분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더라도 지원자의 사회성, 공동체에 대한 헌신, 리더십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특별 활동을 기록합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나 팀워크를 발휘한 경험이라면 더욱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습니다.

 

 

매력적인 CV의 구성 요소

✅ 이름 및 연락처 (Contact Information) / 학력 (Education)

Resume와 동일합니다.

 

✅ 장학금 및 수상 내역 (Honors and Awards)

수여한 모든 수상 내역 및 장학금을 별도 항목으로 정리해서 어필합니다. 수상 항목은 수여 기관, 수여 날짜, 수상 내역을 포함해서 명확하게 기재합니다.

 

✅ 연구 경험 (Research Experience)

전공과 관련된 연구 경험을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 각 연구 활동에 대해 직책, 수행 업무, 지도 교수 혹은 감독관을 명시하고, 연구 기간(시작일~종료일)도 포함합니다. 연구비 지원을 받은 과제에 참여한 경우, 프로젝트 명칭 및 운영된 기금 금액을 추가하는 것도 좋습니다.

 

✅ 논문 및 학술 발표 (Publications, Conference Presentations)

내가 참여한 논문 및 콘퍼런스 프레젠테이션을 적절한 인용 스타일에 맞춰서 작성합니다.

 

✅ 강의 경험 (Teaching Experience)

대학원 지원 시 강의 보조 경험은 중요한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강의 보조를 한 경험이 있다면, 강의명, 기관, 주요 업무, 지도 교수 등의 정보를 기재합니다.

 

✅ 소속된 전문 협회 명시 (Professional Affiliations)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학회나 협회의 멤버로 활동한다면, 해당 내용을 기술할 수 있습니다. 회원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면 소속된 단체명과 역할을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

 

✅ 특허 및 기술 역량 (Patents and Skills)

전공과 관련된 핵심 기술 및 연구 성과를 강조할 수 있도록 별도로 항목화할 수 있습니다. 연구를 토대로 특허 출원이 진행된 경험이 있다면, 특허명, 출원 번호, 관련 기술을 명시합니다. 프로그래밍, 통계 분석 도구 활용, 소프트웨어 기술, CAD 등 기술적 역량을 정리하여 어필합니다.

 

 

효과적인 Resume & CV 작성 전략

✅ 핵심 역량 키워드 설정

지원하는 전공과에서 어떤 역량을 중요하게 평가하는지 키워드로 파악하세요. 해당 키워드가 나의 Resume, CV에 자연스럽게 포함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

 

✅서식 및 가독성 고려

여백은 1inch가 추천되며, Resume의 적정 길이는 1페이지, CV의 적정 길이는 3페이지가 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문 Font는 Calibri, Arial, Tahoma, Century Gothic, Times new Romans 등이 선호됩니다. 글자 크기는 10-12pt 범위를 유지하며, 화려함보다는 최대한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Action Verbs!

자신의 역할과 성과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 수 있는 매력적인 동사 목록을 아래를 참고하여 사용해 보세요.

 

✔️ 연구 & 분석 (Research & Analysis)

Analyzed, Applied, Checked, Cited, Collected, Compared, Critiqued, Deducted, Determined, Diagnosed, Estimated, Evaluated, Examined, Explored, Extracted, Forecasted, Formulated, Identified, Inspected, Interpreted, Investigated, Observed, Predicted, Researched, Reviewed, Summarized

 

✔️ 조직 & 기획 (Organization & Planning)

Approved, Arranged, Catalogued, Classified, Compiled, Dispatched, Developed, Expedited, Facilitated, Generated, Handled, Implemented, Initiated, Inspected, Monitored, Organized, Planned, Prepared, Processed, Purchased, Recorded, Retrieved, Screened, Specified, Systematized, Validated

 

✔️ 리더십 & 관리 (Leadership & Management)

Administered, Assigned, Attained, Chaired, Consolidated, Delegated, Directed, Enhanced, Enforced, Established, Executed, Headed, Hired, Improved, Incorporated, Increased, Managed, Motivated, Oversaw, Presided, Prioritized, Produced, Recommended, Reorganized, Scheduled, Strengthened, Supervised, Mentored

 

✔️ 커뮤니케이션 & 협업 (Communication & Collaboration)

Addressed, Advertised, Arbitrated, Articulated, Authored, Collaborated, Convinced, Corresponded, Demonstrated, Described, Discussed, Edited, Elicited, Empathized, Enlisted, Formulated, Influenced, Informed, Interacted, Interpreted, Interviewed, Justified, Lectured, Listened, Marketed, Mediated, Moderated, Negotiated, Persuaded, Presented, Promoted, Proposed, Publicized, Reconciled, Reported, Represented, Resolved, Solicited, Spoke, Testified, Translated, Wrote, Networked

 

✔️ 운영 & 경영 (Operations & Business)

Allocated, Audited, Balanced, Bargained, Budgeted, Calculated, Computed, Exchanged, Forecasted, Insured, Procured, Sold

 

✔️ 창의력 & 혁신 (Creative & Innovation)

Anticipated, Conceptualized, Created, Customized, Decorated, Designed, Drafted, Fashioned, Founded, Illustrated, Innovated, Integrated, Introduced, Invented, Performed, Revitalized, Disrupted

 

✔️ 교육 & 강의 (Teaching & Training)

Adapted, Advised, Clarified, Coached, Communicated, Coordinated, Enabled, Encouraged, Evaluated, Guided, Informed, Instructed, Motivated, Persuaded, Presented, Stimulated

 

✔️ 기술 & 엔지니어링 (Technical & Engineering)

Programmed, Coded, Debugged, Automated, Configured, Tested, Integrated, Optimized, Engineered, Compiled, Designed, Implemented, Maintained, Refactored, Upgraded, Troubleshot, Scripted, Constructed, Administered, Developed, Architected, Deployed, Scaled, Migrated

 

✔️ 팀워크 & 협력 (Teamwork & Support)

Accommodated, Adapted, Adjusted, Aided, Altered, Amended, Assisted, Collaborated, Contributed, Cooperated, Fostered, Improvised, Instructed, Mediated, Motivated, Participated, Partnered, Stimulated, Supported, Tailored, Un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