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명문대 진학 위한 학년별 준비전략
미국 대학 진학을 위해서는 한국 학생의 경우 중학교 3학년 / 미국 학생의 경우 8학년 여름방학부터 아카데믹한 부분과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에 있어 체계적인 목표 수립과 관리가 필요하다.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학년별 선택 과목, 봉사활동 영역 및 시기, 여름방학 활동 계획, standardized tests 시기 등을 미리 계획하여 자신만의 장기 플랜을 만들어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은 고등학교 4년 동안의 월별 대학 진학 timetable과 학년별 준비 사항에 대해 정리해 놓은 것이다.
■ 고등학교 4년 동안의 월별 대학 진학 timetable
9월 ~ 12월 | 1월 ~ 3월 | 4월 ~ 6월 | 7월 ~ 8월(여름방학) | |
8학년 (중학교 2학년) |
*수학&과학 등의 과목 선수학습 *대학입학 4yrs plan만들기 *스포츠나 악기등 과외활동 결정 |
|||
9학년 (중학교 3학년)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선정 *PSAT 시험응시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
*내신성적관리 *과외 & 봉사활동 * AP 시험응시(1과목정도) |
*Summer Activities *대학탐방 *Job Shadow |
10학년 (고등학교1학년)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PSAT 시험응시 *희망대학 & 전공 선정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
*내신성적관리 *AP 시험응시 *AP과목 SAT II 시험응시 |
*희망대학 Summer Camp & Internship 참여 |
11학년 (고등학교2학년)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PSAT 시험응시 추천서 받을 선생님 contact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SAT I시험 (1&3월) |
*내신성적관리 *과외 & 봉사활동 *AP 시험(5월) *AP과목을 포함한 SAT II 시험 (5월 or 6월) |
*희망대학 Summer Camp & Internship 참여 (10학년때와 동일한 교수밑에서 Internship & research assistant) |
12학년 (고등학교 3학년)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SAT I시험 (10월) *SAT II시험 (11월) 에세이 & 추천서 Early & Regular 원서접수 Early 합격발표 |
*내신성적 관리 *과외 & 봉사활동 *지원대학에 Mid-Year Report보내기 *Regular 합격발표 시작 *Waitlist 발표 |
*내신성적관리 * 과외 & 봉사활동 *합격자 발표 *졸업식 |
*대학입학 준비과정 *영어작문 실력 쌓기 *I-20 발급 및 기숙사 신청 등 입학관련 사항 완료 *학생비자 발급과 출국 |
8학년(한국의 경우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 미국의 경우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중학교 마지막 여름방학을 보내게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8학년 여름방학부터의 활동사항부터 대학 입학원서에 포함되므로 여름방학을 의미 있게 보내야 하며 이 시기에 고등학교 4년 동안의 계획표를 미리 만들어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이 시기는 특히 음악이나 체육 등의 과외활동에 있어, 자신이 남다른 재능이 있으면서 즐길 수 있는 분야(종목)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고등학교 4년 동안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수학이나 과학 등의 고등학교 교과과목을 미리 수강, 학점을 취득하여 9학년이 시작됐을 때,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과목 선택을 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9학년(한국의 경우 중학교 3학년) 9학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적합한 학과목을 선택하여 학점관리를 잘하고, 관심 있거나 재능 있는 분야의 교내외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특히 수학 과목은 Advanced Algebra (Algebra II)를 선택하여 수강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미국 수학의 주요 구성 및 단계는 Algebra I, Geometry, Advanced Algebra(Algebra II), Pre-calculus, AP Calculus AB, AP Calculus BC 와 AP Statistic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중학교과정 중 Geometry까지 듣는 것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리고 9학년 때 Advanced Algebra, 10학년 때 Pre-cal, 11학년 때 AP Calculus AB 그리고 12학년 때 AP Calculus BC와 AP Statistics를 듣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특히나 엔지니어링을 전공으로 선택하는 학생들의 경우, 고등학교 4년 동안 가장 수준 높은 수학과 과학 과목을 수강해야 한다.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은 적성에 맞고 경쟁력 있는 분야를 찾아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계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축구, 테니스, 태권도, 수학경시대회반, 모의유엔과 같은 활동보다는 타 지원자와 비교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크로스컨트리, 조정, 토론반 등이 더 유리할 것이다. 9학년이면 클럽에 가입하였다고 하더라도 리더십 포지션을 갖기는 힘들지만 이후를 대비하여 클럽 내에서 자신의 공헌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만약 가능하다면 자신이 직접 교내 클럽이나 봉사활동 단체를 만들어서 활동하는 것도 이후 대학 입학심사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한국 고등학생의 경우 학교내에서 하는 클럽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미국 대학 입학지원 시에 어필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다양한 활동 루트를 찾아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본인의 대학 입학시험뿐만 아니라 인생에도 귀중한 경험이 될 것이다. 지역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방안, 전 세계적인 환경단체의 활동, 정치나 사회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고등학생으로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들을 만들어 어필할 수 있다면 대학 입학 사정관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PSAT의 경우 학교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공립학교의 경우에는 9학년 1학기에 (10월 15일 전후) PSAT 시험을 치르게 한다. SAT I의 short version(예비 모의시험)으로 9학년과 10학년 때의 성적은 그리 중요하지는 않지만 자신의 실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11학년 때 보는 PSAT는 매우 중요하며 성적 우수자를 선정해 National Merit Scholarship을 수여하게 된다. 그리고 지원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학 2군데를 선정하여 PSAT 성적을 보낼 수 있게 된다.
AP 과목이 9학년 때부터 개설되어 있는 학교가 많지는 않지만, 학교 수업과는 별개로 AP 과목을 정해서 공부를 시작하고 9학년이 끝나는 5월에 시험을 보는 것이 좋다. 보통 9학년이 시험 보기에 좋은 과목은 AP Human Geography와 AP Pshychology가 대표적이다. 9학년은 고등학교 전 과정 중 가장 교과과정에 부담이 없는 시기이므로 9학년 때 AP 과목을 하나 듣고, 시험을 치르게 되면 타 지원자와 비교해 자신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학년(한국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 9학년 성적보다 10학년 때의 성적의 비중이 더 높다. 주요 과목의 경우 모두 Honor 이상으로 들어주는 것이 좋고 AP 과목도 2개 이상 듣는 것이 도움이 된다. 보통 10학년 때는 AP World History를 많이 듣고 5월에 AP 시험과 6월에 SAT II World History를 본다. 그리고 10학년 때 Pre-Calculus 과목을 들은 후 5월이나 6월에 SAT II Math IIC를 보는 것이 좋다.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은 스포츠나 음악의 경우는 9학년 때부터 해오던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학업 관련 활동일 경우 앞으로 전공할 분야와 관련해 활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엔지니어링 쪽을 전공할 생각이면 수학이나 과학 쪽으로 클럽활동도 열심히 하면서 각종 대회에 나가서 수상하는 것이 유리하다. 영문학을 포함한 문과 쪽 지망생이라면 영어토론이나 작문 실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작문대회에 나가보는 것도 좋고, 관련 교내 클럽에서 활동하는 것이 대학 지원 시 도움이 된다.
10학년 여름방학 때는 앞으로 본인이 지원하고 싶은 대학을 탐방해 보거나, 아님 좀 더 부지런한 지원자라면 대학에서 하는 썸머캠프 등에 참여해서 수업도 듣고, 또 교수 밑에서 인턴십을 계획하는 것이 좋다. 물론 많은 대학들이 방학 기간 고등학생을 위한 썸머캠프를 개최하고 있으며 돈을 내면 별로 어렵지 않게 참여할 수 있으므로 썸머캠프를 참여했다는 것에 만족해서는 안 되고, 썸머캠프를 통해 본인이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11학년(한국의 경우 고등학교 2학년) 11학년은 고등학교 전과정 중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대학 입학 사정관들도 고교성적 중 11학년 때의 성적을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세히 심사한다. 쉬운 과목 위주로 시간표를 짜기보다는 challenge를 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여 듣는 것이 중요하다. 명문대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전 과목에 걸쳐 AP/IB 과목을 듣고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이 좋다. 11학년 1학기 때는 SAT 공부를 해서 다음 해 1월과 3월에 SAT I 시험을 치르는 것이 좋으며 5월 AP/IB 시험을 보고 6월에는 동일 과목으로 SAT II 시험을 보는 것이 좋다.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은 해오던 것은 꾸준히 하면서 모든 분야에서 리더십 포지션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좀 더 심각하게 전공 관련 다양한 활동을 벌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만약 Math team에 소속이 되어 있다면, 그냥 멤버로써 만족할 것이 아니라, 각종 대회에 나가 수상하는 것이 좋다. 11학년 여름방학은 대학 입학 에세이를 쓰고, 학교 선생님과 카운셀러에게 추천서를 부탁해야 한다.
추천서는 본인을 가장 잘 아는 선생님 중 주요 과목이나 희망 전공 관련 선생님께 받는 것이 유리하고 학교 카운셀러에게는 반드시 받아야 한다. 추천서는 시간이 걸리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원서 마감일이 다가올수록 학생들이 몰리므로 미리 부탁을 해 두어야 한다. 추천서를 부탁할 때는 본인의 성적, 과외활동, 봉사활동, 수상 경력 등이 자세히 기재된 이력서를 선생님들께 제공함으로써 추천서가 좀 더 구체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2학년(한국의 경우 고등학교 3학년)은 대학 입학원서를 마무리하는 중요한 학년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standardized test를 마지막으로 치르고, 에세이와 추천서 등을 준비하여 11월 초(10월에 진행되는 학교도 있음)부터 진행되는 Early Action이나 Early Decision을 준비하고 또 12월 말에서 1월 초에 걸쳐 진행되는 Regular Decision 지원을 준비하게 된다. 공식 시험은 9월 ACT와 10월 SAT 시험을 시작으로 12월까지 보는 학생들이 많으며 학교에 따라서는 1월 시험 점수를 받아주는 학교도 많이 있으니, 자신이 원하는 학교의 대학 입학지원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학교 홈페이지나 입학담당자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학교마다 요구사항이 다르기는 하지만, 미국 내 대다수의 대학들은 12학년 1학기 성적까지를 입학심사서류에 포함시킨다. 학생들은 성적이 나오는 즉시 mid-year report를 학교 측으로 보내야 한다. 12학년 1학기 때 수강했던 과목들의 수준과, 희망 전공과의 연계성, 성적, 학년과 학교 석차 등을 비중 있게 검토하므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
Early의 경우 합격자 발표가 12월 중순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합격, 불합격, Deferral의 세 가지 경우로 결론나게 된다. 불합격 통지서를 받게 되면 동일 학교에는 Regular 지원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Deferral이 되면, Regular Decision에서 타 지원자들과 한 번 더 경쟁해야 한다. Early Action(Restrictive or Single Choice Early Action포 함)의 경우 합격을 하면 지원자가 해당 학교의 등록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보통 5월 말까지만 디파짓을 내는 것으로 학교 측에 통보하면 된다. 하지만 Early Decision의 경우는 합격되면 무조건 등록해야 하는 binding admission이므로 학교 지원 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므로 보통 Early Decision은 지원하려는 학교가 dream school이고, 본인이 모든 학비를 다 부담할 각오가 되어있는 학생일 경우 지원하는 것이 좋다. Regular Decision의 경우는 보통 3월 말에서 4월에 걸쳐 합격 발표가 진행된다. 이 경우는 합격, 불합격, waitlist의 세 가지 경우로 나뉘게 된다. Waitlist일 경우, 학교 측에 지원자의 관심과 합격의지를 지속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그리고 초기 원서접수 때와 비교하여 달라진 사항이 있다면 (시험 성적, 수상 여부,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 사항 등) 반드시 학교 측에 통보하여야 한다.
12학년 졸업 후 Waitlist에 올라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원자들의 합격 발표가 이루어진 시점이다. 합격한 학생은 합격의 기쁨을 만끽하고, 또 불합격한 학생들은 여전히 입학원서접수가 가능한 학교들을 선별해 원서접수를 한다.
대학생이 되기 전 마지막 방학으로 신나게 즐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학에서 배울 내용들을 미리 예습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본인의 전공분야에 따라 준비사항이 달라지겠지만, 기본적인 대학 수학, 영어 작문 등은 미리 예습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현재 미국 대학 재학생 중 4년 안에 졸업을 하는 학생의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외국 유학생의 경우는 그 폭이 더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대학 입학 전 준비 기간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