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로 조기유학을 생각중이신 많은 부모님들께서 자녀들이 캐나다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을 입학하기 위해서 어떤 과목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하는지 궁금해 하십니다. 유학브레인에서 캐나다 4년제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과목 선택하는 방법을 안내 드리려고 합니다.

여기에서는 대입에 가장 유리한 온타리오 주 정규 교육과정(Ontario Secondary School Diploma)을 예시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온타리오 주의 경우 12학년 영어 내신을 포함한 12학년 6개 과목의 내신 성적만으로 대입이 가능합니다. 미국의 SAT/ACT 나 한국의 수능같은 표준화 시험이 없기 때문에 부담이 적기도 합니다.

 

캐나다는 입시에 반영하지 않는 과목을 이수할 필요가 전혀 없음!

캐나다에서는 주마다 명칭이 다르지만 고등학교 커리큘럼은 대개 비슷하게 흘러 갑니다. 학생이 입학을 희망하는 대학과 전공에 따라서 고등학교 때 수강할 과목을 선택하는데요, 2년제 컬리지나 4년제 유니버시티 모두 ’12학년 영어 과목 성적’ 제출은 필수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타리오 주에서의 12학년 영어 과목은 과목 코드로 나타내면 ENG4U 인데요, ENG4U 는 이유 불문하고 대학에 진학하려면 무조건 이수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하려는 경우 수학 과목의 내신은 아예 반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수학을 아예 손 놓을 수는 없는게, 고등학교 졸업을 위해 필요한 학점 중에 수학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면, 학생이 희망하는 대학과 전공이 정해져 있다면 미리 그 대학의 홈페이지에서 입학 요구 조건을 체크해서 입학 심사에 반영하는 과목들이 뭔지 알아보고, 그에 맞춰서 고등학교에서 이수할 과목들을 선택하게 되는 겁니다.

 

온타리오 주 9학년 / 10학년 고등학교 과목 코드 보는 법

9학년과 10학년은 기본적으로 난이도 기준으로 아카데믹(D), 실업계(P), 오픈(O)의 3가지 코드로 나뉘며, 모든 9학년 과목들은 초등학교 8학년의 커리큘럼과 난이도를 근거로 해서 충분히 적응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만들어 졌습니다. 아래 그림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 CGC은 과목명을, 1은 학년(9학년=1), P는 과목 타입을 의미

위 그림의 설명처럼 아이가 ‘ENG2D’ 라는 과목을 공부하고 있다고 하면 이것이 몇 학년 과목인지 그리고 어떤 과목인지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온타리오 주 11학년 / 12학년 고등학교 과목 코드 보는 법

11학년쯤 되면 학생이 졸업 후에 전공을 뭘로 할 지 대략은 정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학생의 진로에 맞는 5가지 과목 코드를 알아야 합니다.

1) 대학 준비 (University Preparation) – U
과목 코드에 U가 붙으면 4년제 대학교 입학에 사용할 수 있는 과목을 말합니다. 캐나다 고등학교에서는 최고 난이도의 과목으로, 2년제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대학과 컬리지 준비 (University/College Preparation) – M
일부 대학들이나 특정 전공들의 경우 과목 코드에 M이 붙는 과목들을 입시에 반영합니다.

3) 컬리지 준비 (College Preparation) – C
과목 코드에 C가 붙는 과목들은 U가 붙는 과목보다 난이도가 다소 낮으며, 4년제 대학 진학에는 사용하지 못하지만, 2년제 컬리지 진학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취업 준비 (Workplace Preparation) – E
과목 코드 E가 붙는 과목들은 학생들이 고졸 이후에 바로 직장을 가지려고 하거나 일부 대학에서 진행하는 Apprenticeship 이나 Work Experience 관련 프로그램에 입학하려는 경우에 필요합니다.

5) 오픈(Open) – O
오픈 코드가 붙는 과목들은 모든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수할 수 있으며 종교, 체육, ESL 같은 과목들에 오픈 코드가 붙습니다. 대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과목입니다.

 

선수과목(Prerequisite)을 먼저 이수해야 함

캐나다 고교 마지막 학년인 12학년 과목을 이수하려면, 11학년에서 선수과목을 먼저 이수해야 하는데, 마찬가지로 11학년 과목을 이수하려면, 10학년에서 선수과목을 먼저 이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12학년 영어 과목인 ‘ENG4U’ 의 선수과목은 11학년 영어 과목 ‘ENG3U’ 이고, 11학년 영어 과목인 ‘ENG3U’ 의 선수과목은 10학년 영어인 ‘ENG2D’ 입니다.

캐나다 조기유학

▲ 위 표처럼 12학년 영어를 듣기 위해서는 Prerequisite으로 11학년 영어 과목을 들어야 한다.

 

캐나다 4년제 진학 시 필수 과목 예시

토론토 대학교에서 Biochemistry 를 전공하려는 학생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학생이 원하는 전공은 Life Sciences 계열이 되겠네요. 토론토 대학교의 Life Science 계열 1학년으로 입학을 위해 필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타리오 주 고등학교 졸업 자격(OSSD)
  • 12학년 영어(ENG4U)를 포함한 6개의 12학년 U/M 과목 이수
  • 6개 과목 중 Calculus 와 Biology, Chemistry 는 필수, Physics 는 추천

이처럼 온타리오 주의 고교 졸업자의 경우 정확히 어떤 과목의 내신 성적이 필요한지와 몇 과목이 필요한지가 나와있으며,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이 학생이 캐나다 고등학교에서 4년 동안(9~12학년) 반드시 이수해야 할 과목들이 대략적으로 예상됩니다.

학년 대학 진학에 필요한 과목 리스트 선수과목 조건
9학년
  • 9학년 영어(ENG1D)
  • 9학년 수학(MPM1D)
  • 9학년 과학(SNC1D)
  • 그 외 아무거나 5과목
  • 없음
10학년
  • 10학년 영어(ENG2D)
  • 10학년 수학(MPM2D)
  • 10학년 과학(SNC2D)
  • 그 외 아무거나 5과목
  • 10학년 수학을 수강하려면 9학년 수학을 패스해야 함
  • 10학년 과학을 수강하려면 9학년 과학을 패스해야 함
11학년
  • 11학년 영어(ENG3U)
  • 11학년 수학(MCR3U)
  • 11학년 생물(SBI3U)
  • 11학년 화학(SCH3U)
  • 11학년 물리(SPH3U)
  • 그 외 아무거나 3과목
  • 11학년 수학을 수강하려면 10학년 수학을 패스해야 함
  • 11학년 생물/화학/물리를 수강하려면 10학년 과학을 패스해야 함
12학년
  • 12학년 영어(ENG4U)
  • 12학년 미적분(MCV4U)
  • 12학년 함수(MHF4U)
  • 12학년 생물(SBI4U)
  • 12학년 화학(SCH4U)
  • 12학년 물리(SPH4U)
  • 그 외 아무거나 2과목
  • 12학년 미적분(MCV4U)은 반드시 12학년 함수(MHF4U)와 동시에 이수하거나, 12학년 함수(MHF4U)를 패스하고 난 뒤에 수강 가능
  • 12학년 생물/화학/물리를 수강하려면 11학년 생물/화학/물리를 패스해야 함

위와 같이 토론토 대학교 Life Science 계열에 진학하려는 경우 고등학교 저학년부터 플랜을 수립하는 것이 좋습니다.